로고


자료실

홍보물

[2022년 11월] 바이오·에너지 인증 뉴스레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컨트롤유니온코리아 조회548회 작성일 22-11-23 16:41

본문

△플라스틱 폐기물 연합, 'ISCC PLUS' 언급
403_1579755103.png
24278_1659322756.jpg
2022년 11월에 보내드리는 바이오·에너지 인증 관련 소식
24278_1667287104.png

ISCC PLUS, Chemical Recycling의 6가지 핵심 원칙 다룬 인증

24278_1667806754.PNG
올해 7월, 국제 소비재 포럼(CGF)의 플라스틱 폐기물 연합(Plastic Waste Coalition)이 열분해 기반 화학 재활용에 대한 6가지 핵심 원칙을 발표했습니다.

해당 내용이 기재된 'Chemical Recycling in a Circular Economy for Plastics'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원칙들을 다룰 수 있는 인증 제도로 ISCC PLUS, RSB Standard for Advanced Products, REDcert2 등이 언급됐습니다.

핵심 원칙과 인증 제도가 언급된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Source of Input materials does not include material that can be economically recycled by mechanical recycling in practice and at scale.
  2. Material traceability is accurately achieved from plastic waste inputs through to recycled plastic using a mass balance protocol that is widely accepted and applied.
  3. Process yield is maximised for plastic-to-plastic, other recycled outputs (e.g. bitumen/asphalt, waxes) are de-prioritised, and non-recycled outputs such as fuels are minimised.
  4. Environmental impact: Life-cycle environmental impact (with a focus on climate) of chemically recycled plastics is credibly demonstrated as equivalent or lower than fossil fuel-based virgin plastics in a comparable system.
  5. Health and safety: Emission and pollutions from chemical recycling processes are properly managed to safeguard health and safety of people and the environment.
  6. Claims: Claims about chemical recycling made by companies purchasing plastics produced by chemical recycling are communicated credibly and transparently to support consumer decision-making.
24278_1667804706.png
또한, 지난 10월에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행동 연합(CGF Plastic Waste Coalition of Action)의 12개 글로벌 회원사가 화학적 재활용 플라스틱 조달에 대한 의향서(LOI)를 제출했습니다.

서류에 따르면, 이들은 연간 최소 80만 톤 이상의 화학적 재활용 플라스틱 조달에 관심이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규제 기관과 투자자에게 위와 같은 화학적 재활용에 대한 핵심 원칙을 충족하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향서(LOI)를 제출한 12개 회원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Amcor, Barilla, Colgate-Palmolive, Danone, Ferrero, Haleon, Henkel, Mars, Incorporated, McCain Foods, Mondelēz International, PepsiCo, Unilever.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 및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24278_1667804968.png
24278_1667287115.png
이번 뉴스레터 내용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컨트롤유니온코리아 바이오·에너지팀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전화번호: 02-6218-9239

✉️ 메일: bioenergykorea@controlunion.com

24278_1639387043.png
24278_1666663779.png

안녕하세요, 컨트롤유니온코리아입니다!


지난 10월 5일, 컨트롤유니온은 충북 괴산에서 열린 세계 유기농 산업 엑스포에 다녀왔습니다.


2022 괴산세계유기농산업엑스포는 ‘유기농이 여는 건강한 세상’이라는 주제로 지난달 30일부터 충북 괴산에서 진행되고 있는 박람회입니다. 해당 박람회에서는 유기농이 주목받는 이유와, 유기농이 걸어온 길, 유기농 인증에 대해 다루고 있었습니다. 이에 컨트롤유니온의 유기농 인증 담당자분들과 함께 마켓 리서치에 나섰습니다.

.

.
.
>>>>>보다 자세한 내용은 클릭
24278_1667287127.jpg
homepage2-snsA.pnghomepage-snsA.pnginstagram-snsA.pngfacebook-snsA.pngyoutube-snsA.png
(주)컨트롤유니온코리아
deankim@controlunion.com
서울시 성동구 성수이로 66 서울숲 드림타워 910 02-2281-9200
수신거부 Unsubscribe

(주) 컨트롤유니온코리아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이로 66, 서울숲 드림타워 910호 
 사업자등록번호 : 206-86-22682 |  Tel : 02-2281-9200 |  Fax : 02-2281-9239 

©2015 Control Union Korea.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홈페이지제작.kr